윈도우 WSL Ubuntu D Drive로 변경

WSL에서 대용량 파일 처리(한사이클에 50GB..)를 하면서 안그래도 부족한 C드라이브 용량이 바닥이 났습니다.. ㅠㅠ.. C드라이브를 늘릴 수는 없으니 급한대로 D드라이브 1TB로 변경 후 WSL Ubuntu를 D드라이브로 옮기기로 정했습니다. WLS에 대한 명령어는 wsl -h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처럼 wsl name을 확인 후 해당 name으로 우선 ubuntu를 정지합니다. 1 2 wsl -l -v wsl -t [Name] # 특정 WSL 정지 제 경우는 Ubuntu-20.04 라는 Name이므로 해당 이름을 기준으로 커맨드를 작성했습니다. WSL 내보내기...

5월 21, 2023 · 1 분

리눅스에서 활성화된 process 종료 방법

netstat을 사용하기 위해서 우선 net-tools를 설치해야합니다. 1 sudo apt install net-tools 설치 후 netstat -tulpn 를 입력하면 현재 열린 네트워크 포트와 해당 포트를 열어놓은 프로세스를 보여주는 도구입니다. 여기서 각 옵션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t: TCP 프로토콜 사용 포트 -u: UDP 프로토콜 사용 포트 -l: 포트를 열어놓은 프로세스 출력 -p: 프로세스 ID 출력 -n: 포트와 프로세스를 숫자로 출력 따라서 netstat -tulpn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열린 TCP/UDP 포트와 해당 포트를 열어놓은 프로세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월 11, 2023 · 1 분

WSL 환경에서 내부 MariaDB 설치하기

WSL 환경에서 DB 설정 방법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윈도우 환경이며, WSL을 이용해 우분투 18.04 버전을 설치합니다. mariadb-server 설치 및 실행 패키지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합니다. 1 2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upgrade 우선 mariadb-server를 설치합니다. 1 2 3 sudo apt install mariadb-server sudo mysql -u root -p # 실행 DB 저장소 경로 변경 방법 만약 db의 저장소를 변경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진행하면 됩니다. 우선 db의 경로를 /home/data/mysql으로 가정하겠습니다. db 접속 후 현재 db의 경로를 확인합니다....

4월 15, 2023 · 3 분

Gerrit 코드 리뷰에 대해

Gerrit은 오픈 소스 웹 기반 코드 리뷰 도구로, Git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에서 코드 검토 및 협업을 용이하게 해줍니다. Gerrit은 구글에서 개발되었으며, 안드로이드 오픈 소스 프로젝트(AOSP) 등 여러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Gerrit을 사용하려면 Gerrit 서버를 설치하고 구성해야 합니다. 설치 방법은 공식 문서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Gerrit은 웹 기반 코드 커밋 및 버전 관리 도구로, 코드 리뷰를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개발자들은 Gerrit을 이용하여 Git 저장소에서 작업한 코드 변경 사항을 리뷰하고, 변경을 승인하거나 거부하고, 수정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3월 20, 2023 · 3 분

Linux에서 배포 스크립트($'/r') 발생 시 처리 방법

node.js backend 에서 작업 중 테스트 서버에 배포 스크립트를 작성했습니다. 위와 같이 $'\r': coomand not found가 발생하면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sed -i 's/\r$//' [스크립트파일.sh] 문제의 원인은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에서는 줄 바꿈 문자로 줄 바꿈(Line Feed, LF)을 사용하지만, 윈도우 운영체제에서는 줄 바꿈 문자로 CR과 LF를 함께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에서는 Windows에서 생성된 텍스트 파일을 처리할 때 이러한 CR 문자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sed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스크립트 파일에서 Windows에서 생성된 줄 바꿈 문자(Carriage Return, CR)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3월 10, 2023 · 1 분

Infra 설정 관련 정리

인프라 관련 내용 정리가 필요할 것 같아 중요한 키워드 정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AWS EC2 접속 명령어 기본적으로 pem키를 발급받고 네트워크 보안이 올바르면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pem키를 이용해 접속 가능합니다. 1 2 chmod 400 [pem파일명] ssh -i [pem키 파일명] ubuntu@[퍼블릭 IP 주소] 입력했던 콘솔 보기 1 history bastion host 설정 bastion host란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게이트 역할을 수행하는 호스트입니다. 내부 서버나 중요 리소스를 보호하기 위해 생성되며, 일반 유저들에게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1월 12, 2023 · 3 분

Windows Nodejs 버전 변경하기

종종 프로젝트 중에는 특정 Node.js 버전에서만 동작하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Docker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만들거나 로컬인 경우 해당 버전에 맞는 Node.js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번 내용은 전에 작성한 jdk 버전을 변경하듯이 Node.js 버전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께요. 알림 해당 글은 Window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Mac의 경우는 해당 stackoverflow 질문글 을 참조해주세요. 먼저 해당 링크 에서 우측의 Release 버튼을 선택합니다. nvm-setup.exe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아래와 같이 파일을 설치하고 버전을 커맨드로 입력해보면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월 26, 2022 · 1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