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에서 터미널로 잠자기 모드 해제하는 방법
Mac에서 터미널 명령어를 사용하여 잠자기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Mac에서 터미널 명령어를 사용하여 잠자기 모드를 해제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맥북과 윈도우를 함께 사용하다 보면 Ctrl과 Command 키 배열이 달라 불편할 때가 많습니다. 많은 블로그에서는 Karabiner를 활용해 키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하지만, 외부 키보드마다 설정을 변경하는 것보다는 맥북 내부 키보드 자체를 조정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이렇게 설정해 두면 키보드를 자주 바꿔 사용할 때마다 별도로 변경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Karabiner-Elements를 다운로드 합니다. 우선 맥북 기본 키보드는 위와 같이 설정합니다. 그리고 모든 키보드 설정은 위와 같이 설정하면 됩니다....
C# WPF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간단하게 코드 컨벤션과 코드 정렬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협업을 하는 경우 코드스타일이 이왕이면 일관된 것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코드 컨벤션 공식 문서 에서 전반적으로 코딩 규칙에 대해 작성돼 있습니다. 코드 컨벤션은 위의 문서를 읽어보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이번에 작성할 내용은 간단하게 포맷을 정렬하여 팀에서 코드 정렬과 관련한 스타일을 통일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de Formatting 코드 정렬은 2개의 설정만 바꿔주면 됩니다. 생각보다 간단하기에 이렇게 쓰면 좋습니다....
도커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화하여 개발, 배포 과정을 단순화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멀티 스테이지 빌드는 도커 이미지의 크기를 줄이고, 빌드 속도를 개선하는 데 유용한 기능입니다. 도커파일만 이용할 경우에는 구조가 단순하며, 빠른 설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멀티스테이지 도커에 비해 이미지 크기가 크며, 중간 빌드 결과물(ex: 컴파일 도구, 라이브러리 등)이 모두 포함되므로 리소스 낭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멀티스테이지 도커를 이용할 경우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이미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음 개발 단계에서 사용된 도구나 라이브러리를 최종 이미지에서 제외함으로써 이미지의 크기를 최소화 보안을 강화 불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최종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공격 범위를 줄일 수 있음 빌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 멀티 스테이지 빌드를 사용하면 필요한 단계만 실행하여 빌드 시간을 단축 위와 같은 장점이 있긴 하지만, 멀티스테이지 도커를 위한 커맨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Dockerfile이 단계가 복잡할 수 있으며, 빌드에 필요한 단계별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설정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습니다....
Flutter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필요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유지보수하기 어렵게 코딩하는 방법 도서를 읽은 리뷰입니다.
Android 무선 디버깅 하는 방법입니다.
상위 폴더에서 여러 Git 저장소를 한번에 pull 하는 방법입니다.(window, mac)
취업과 이직을 위한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문제 풀이 전략 자바 편 도서 리뷰입니다.
Ollama를 이용해 다양한 LLM Model 구동하기